전체 글 818

191. 金須百鍊 矢不輕發 금수백련 시불경발

磨礪當如百鍊之金 마려당여백련지금 急就者非邃養 급취자비수양施爲宜似千鈞之弩 시위의사천균지노 輕發者無宏功 경발자무굉공 마음을 갈고 닦음은 수백 번 쇠를 단련함과 같은데서둘러 이루는 것은 깊은 수양은 아닐 것이다.일을 시행함은 수천 근의 쇠뇌를 쏘는 것과 같은데가벼이 쏜다는 것은 굉장한 공적은 없음이다. 磨礪(마려) : 단련하다/쇠나 돌을 문질러 갊 왕충(王充,25-220)의 《論衡논형·率性솔성》에 불을 얻는 방법으로 消鍊五石 鑄以爲器 소련오석 주이위기 磨礪生光 마려생광 다섯가지 돌을 녹여 달궈 불리어 그릇을 만들어  문질러 갈아 빛을 낸다. 는 내용이 나온다.當(당) : 마땅히 ...라고 간주하다百鍊(백련) : 거듭거듭 많이 단련함急就(급취) : 급히 이루다 남송 시인 양만리(楊萬里,1127-1206)의 시 ..

192. 斥小人媚 愿君子責 척소인미 권군자책

寧爲小人所忌毁 영위소인소기훼 毋爲小人所媚悅 무위소인소미열寧爲君子所責備 영위군자소책비 毋爲君子所包容 무위군자소포용 차라리 소인배에 시샘 받고 헐뜯기는 게 낫다 소인배를 위해 잘보이려 알랑거리지 마라 차라리 군자에게 꾸지람 받는 것이 낫다 군자에게 잘못을 싸덮히지 마라 寧(령) : 차라리(...하는 것이 낫다)小人(소인) : 도량이 좁고 간사한 사람忌毁(기훼) : 시기와 훼방, 시기하고 헐뜯다.毋(무) : ...하지 마라(강력한 어조)媚悅(미열) : 환심을 사고자 잘 보이거나 알랑거림  송나라 동파 소식(蘇軾)이 도연명의 시를 본떠   같은 제목으로 지은 시 影答形영답형>에  妍媸本在君 연치본재군  我豈相媚悅 아기상미열  예쁘고 못생김은 본디 그대에게 있는 것  내 어찌 잘 보이려 환심을 사겠는가!  라는 ..

193. 好利害顯 好名害隱 호리해현 호명해은

好利者逸出於道義之外 호리자일출어도의지외其害顯而淺 기해현이천好名者竄入於道義之中 호명자찬입어도의지중其害隱而深 기해은이심 이로움을 좋아함은 도덕과 의리 밖에 삐져나와그 해로움이 드러나도 얕지만 명성을 좋아함은 도덕과 의리의 안에 도망쳐 들어와그 해로움이 숨겨져도 두텁도다. 利(리) : 이익, 이득, 이로움逸出(일출) : 피해 빠져 나옴道義(도의) : 사람이 마땅히 해야할 도덕적 의리名(명) : 평판, 명성竄入(찬입) : 도망쳐 들어감, 은닉(隱匿)

194. 忘恩報怨 刻薄之憂 망은보원 각박지우

受人之恩雖深不報 수인지은수심불보 怨則淺亦報之        원즉천역보지 聞人之惡雖隱不疑 문인지악수은불의善則顯亦疑之        선즉현역의지 此刻之極薄之尤也 차각지극박지우야宜切戒之               의절계지 남의 은혜를 받으면 두터워도 갚지 않을지나원망을 받으면 얕을지라도 갚는다. 남의 악행을 들으면 숨겨져 의심하지 않더라도선행을 들으면 드러나도 의심을 한다. 이는 각박함의 극치요 야박함의 으뜸이라. 응당 간절히 경계해야 함이다. 深(심) : 깊다, 두텁다(厚)報(보) : 갚다, 보복하다怨(원) : 원한, 원망惡(악) : 악행↔선행(善)隱(은) : 숨기다, 가려지다顯(현) : 나타나다, 드러나다刻(각) : 각박하다, 신랄하다薄(박) : 메마르다, 야박하다尤(우) : 으뜸, 뛰어난 것宜(의) : 마땅히..

195. 讒言自明 媚阿侵肌 참언자명 미아침기

讒夫毁士 참부훼사 如寸雲蔽日 여촌운폐일 不久自明 불구자명 媚子阿人 미자아인似隙風侵肌 사극풍침기 不覺其損 불각기손 거짓으로 남을 헐뜯는 이들은 구름 한 조각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과 같아오래지 않아 절로 밝혀지게 된다. 알랑거리며 빌붙는 자들은틈새 바람이 살가죽을 에는 것과 같아그 손해를 깨닫지 못한다. 讒夫(참부) : 근거 없는 말로 남을 헐뜯는 사람毁(훼) : 헐뜯다, 비방하다 讒毁(참훼)는 거짖을 꾸며 남을 헐뜯음을 말함寸雲(촌운) : 한 조각 구름媚子(미자) : 남의 비위를 맞춰 알랑거리는 사람  머리 장식/사랑하는 자식   북주(北周)의 문장가 유신(庾信,513-581)의   鏡賦경부>에  懸媚子于搔頭 현미자우소두  옥잠에 머리장식을 올리고  라는 구절에는 머리장식을 의미하고 《試經시경》秦風진풍⋅駟..

196. 行戒高絶 性忌偏急 행계고절 성기편급

山之高峻處無林 산지고준처무림 而谿谷廻環則草木叢生 이계곡회환이초목총생水之湍急處無魚 수지단급처무어 而淵潭停蓄則魚鼈聚集 이연담정축즉어별취집  此高絶之行褊急之衷 차고절지행편급지충 君子重有戒焉 군자중유계언 산의 높고 험준한 곳엔 숲이 없으나계곡이 감돌면 초목이 더부룩이 자란다.물살이 급한 곳에서는 물고기가 없으나깊은 못이 멎어 모이면 물고기와 자라가 모여든다. 이런 높고 막다른 행동과 좁고 급한 속마음을군자는 신중히 경계함이다. 高峻(고준) : 높고 험하다廻環(회환) : 구불구불 감돌다, 에돌다叢生(총생) : 떼 지어 자라다, 뭉쳐 나다湍急(단급) : 물살이 세다(급하다)淵潭(연담) : 깊은 못停蓄(정축) : 머물러 모이다(쌓이다) = 停滀  송(宋) 하원(何薳,1077-1145)의《春渚紀聞춘저기문》泖茆字異유묘자..

197. 虛圓立業 僨事失機 허원입업 분사실기

建功立業者 건공입업자 多虛圓之士 다허원지사 僨事失機者 분사실기자 必執拗之人 필집요지인  공을 세우고 업적을 이룬 자들은대개 겸허하고 원만한 사대부들이다.일을 그르치도 기회를 잃는 자들은반드시 고집스레 우기는 사람들이다. 立業(입업) : 업적을 세우다, 창업하다 후한(後漢) 순열(荀悅,148-209)의《漢紀한기》 서문에  斯皆明王賢臣命世立業 사개명왕현신명세입업 이 모두 밝은 왕이요 어진 신하로 한 시대를 이름 난 분이고 업적을 세운 이로다. 라고 적었다 多(다) :대부분(多大)虛圓(허원) : 겸허하고 원만하다.士(사) : 사의 의미는 폭이 넓다. 고대에는 형옥을 담당하는 관원이었으나 지나며 공,경,대부 아래 초급관리자를 지칭하다 12세기 들어 사대부를 통칭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선비를 의미하게 된다.僨事(..

198. 處世要道 不卽不離 처세요도 부즉불리

處世不宜與俗同  처세불의여속동 亦不宜與俗異     역불의여속이 作事不宜令人厭  작사불의령인염 亦不宜令人喜     역불의령인희  세상살이는 세속과 더불어 같아서도 좋지 않고또한 세속과 더불어 달라서도 좋지 않다.일을 처리함에 사람을 싫어하게 함은 좋지 않고또한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도 좋지 않다. 處世(처세) : 세상살이, 살아감.不宜(불의) : ...하는 것은 좋지(적당하지) 않다作事(작사) : 일을 처리하다(處事),  《左傳좌전》昭公八年소공팔년>에  師曠曰臣又聞之曰 사광왈신우문지왈  作事不時 怨讟動于民 작사불시원독동우민  則有非言之物而言 즉유비언지물이언  사광이 말하길 “신이 그것을 들었는데  일을 처리함에 때도 없어 백성의 원망이 일어  말이 안되는 것이 있다고 말들 합니다”   라는 기사가 있다..

199. 老當益壯 大器晩成 노당익장 대기만성

日旣暮而猶煙霞絢爛 일기모이유연하현란 歲將晩而更橙橘芳馨 세장만이갱등귤방형 故末路晩年               고말로만년 君子更宜精神百倍    군자갱의정신백배  날이 저물면 되려 안개와 노을 현란하고한해가 저물면 되려 등자와 귤이 향기롭네그러므로 삶의 마지막 무렵 노년에군자는 다시 응당 정신을 가다듬는다.  煙霞(연하) : 안개와 노을 / 고요한 산수의 경치絢爛(현란) : 눈이 부시도록 찬란함橙橘(등귤) : 노란 등자와 푸른 감귤224. 濃夭淡久 大器晩成 농요담구 대기만성 참조芳馨(방형) : 꽃다운 향기(芳香) 《楚辭초사》九歌구가> 湘夫人상부인>에  合百草兮實庭 함백초혜실정  建芳馨兮廡門 건방형혜무문  온갖 향초로다! 뜰에 가득 채웠네  향기로운 꽃을 쌓았구나! 문을 가렸다네  라는구절이 있다.末路(말로)..

200. 藏才隱智 任重致遠 장재은지 임중치원

鷹立如睡 응립여수 虎行似病 호행사병 正是他攫鳥噬人手段處 정시타확조서인수단처故君子要 고군자요 聰明不露 총명불로 才華不逞 재화불령 纔肩鴻任鉅的力量 재견홍임거적역량  매가 조는 듯 서있고호랑이가 아프 듯 걷는 것은바로 그들이 새를 움키고 사람을 삼키려는 잔꾀다.그래서 군자는 반드시총명하나 드러내지 않고뛰어난 재능도 뽐내지 않으므로겨우 무거운 책임을 맡을 역량을 가지는 것이다. 睡(수) : 졸다, 자다他(타) : 그, 그들 (매와 호랑이)攫(확) : 움켜잡다, 가로채다噬(서) : 삼키다. 깨물다手段(수단) : 수단, 잔꾀, 방법處(처) : 때, 곳要(요) : 반드시 ...하다露(로) : 노출하다, 드러내다才華(재화) : 빛나는 재주, 밖으로 드러난 재능《北齊書북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