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26

63. 謙虛受益 滿盈招損 겸허수익 만영초손

欹器以滿覆 기기이만복 撲滿以空全 박만이공전 故君子 고군자 寧居無 不居有 영거무 불거유 寧處缺 不處完 영처결 불처완 기기는 차면 엎어지고, 박만은 비어야 온전하다. 그러므로 군자는 무에 거할지언정 유에 거하지 않고, 모자란 곳에 머물지언정 갖춘 곳에 머물지 않는다. 欹器(기기) : 고대 중국의 제후가 처신을 경계하고자 곁에 두던 그릇  欹(기)는 기운다는 뜻으로, 물이 가득 차면 뒤집히고, 비었을 때는 기울어지며, 절반 정도 차면 반듯하게 놓이는 그릇이다. 고대 중국에서 왕이 앉는 자리의 오른쪽에 놓고 보면서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고 알맞게' 처신하도록 스스로 경계하는 데 사용한 그릇으로서, 中庸중용의 뜻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기기에 관한 이야기는《荀子순자》宥坐유좌>편에 孔子觀於魯桓公之廟 공자관어노환공..

64. 拔去名根 融去客氣 발거명근 융거객기

名根未拔者 명근미발자 縱輕千乘甘一瓢 종경천승감일표總墮塵情 총타진정  客氣未融者 객기미융자 雖澤四海利萬世 수택사해이만세 終爲剩技 종위잉기 명예를 탐하는 뿌리가 뽑히지 않은 자는 제후를 가벼이 여기고 물 한 쪽박도 달다 할지라도모두 다 속세의 정에 빠진다. 넘치는 혈기가 녹아들지 못한 자는천하를 윤택하게 하고 오래도록 이롭게 한다 하여도끝내는 남아도는 재주꾼일 뿐이다. 名根(명근) : 명예를 좋아하는 근성縱(종) : 설령 ...일지라도千乘(천승) : 부귀영화, 제후 4마리가 끄는 수레가 一乘이다.전시에 천자는 萬乘만승을 제후는 千乘을 거느렸다.一瓢(일표) : 한 바가지의 물 = 簞瓢(단표) 《論語논어》雍也옹야>에서 공자는 顏回를 칭찬한다子曰賢哉回也 자왈현재회야一單食 一瓢飮 在陋巷 일단사 일표음 재누항人不堪其..

65. 心體光明 念勿暗昧 심체광명 염물암매

心體光明 심체광명 暗室中有靑天 암실중유청유 念頭暗昧 염두암매 白日下有厲鬼 백일하유악여귀 몸과 마음이 밝고 환하면 어두운 방에서도 푸른 하늘이 있고 어리석어 생각이 어두우면 밝은 대낮에도 못된 귀신이 나온다.  靑天(청천) : 푸른 하늘, 맑은 하늘念頭(염두) : 염두에 두다, 생각하다.暗昧(암매) : 못나고 어리석어 생각이 어두움 《國語국어·鄭語정어》의 今王棄高明昭顯,금왕기고명소현 而好讒慝暗昧 이호참특암매 지금 왕은 밝고 현명한 이를 버리고 아첨에 간특하고 못나 어리석은 이들을 좋아하네. 라는 기록이 출처라고 한다. 白日(백일) : 대낮 厲鬼(여귀) : 무서운 돌림병으로 죽은 사람의 귀신 제사를 받지 못하는 귀신 《左傳좌전》昭公七年소공칠년>의 今夢黃熊入於寢門 금몽황웅입어침문 其何厲鬼也 기하여귀야 오늘 황..

66. 勿羨名位 勿濾飢寒 물선명위 물려기한

人知名位爲樂 인지명위위락不知無名無位之樂 爲最眞 부지무명무위지락 위최진 人知飢寒爲憂 인지기한위우 不知不飢不寒之憂 爲更甚 부지불기불한지우 위갱심 사람은 명성과 지위가 즐거움이라 알고 명성도 지위도 없는 즐거움이 가장 참됨은 모른다.사람은 굶주림과 추위가 걱정임은 알지만굶주리지도 춥지도 않을 걱정이 더 심함은 모른다. 名位(명위) : 명성과 지위更(갱) : 더욱

67. 陰惡之大 顯善之小 음악지대 현선지소

爲惡而畏人知 위악이외인지 惡中猶有善路 악중유유선로 爲善而急人知 위선이급인지 善處卽是惡根 선처즉시악근  나쁜 짓을 하고 남이 알까 두려우니악행 속에 마치 선하고자 하는 길이 있는 것 같고좋은 일을 하고 남이 알길 서두르니선행을 하는 것이 곧 악의 뿌리인 것이다. 猶(유) : 마치 ...인 것 같다.善路(선로) : 선행의 길, 올바른 길急(급) : 초조해 하다, 급히 서두르다處(처) : 장소(곳), 때, 상황

68. 居安思危 天也無法 거안사위 천야무법

天之機緘不測 천지기함불측抑而伸 伸而抑 억이신 신이억 皆是播弄英雄 顚倒豪傑處 개시파롱영웅 전도호걸처  君子只是逆來順受 군자지시역래순수 居安思危 거안사위 天亦無所用其伎倆矣 천역무소용기기량의  하늘의 모묘하고 신비한 변화는 헤아릴 수 없다.쥐락펴락한다. 억누르다 놓았다 놓았다 억누른다.영웅을 가지고 놀고 호걸을 엎어 넘어뜨리는 것이다. 군자는 오로지 역경을 참고 견디며편안한 처지에도 위험할 때를 생각하니하늘 역시 어떤 재주를 부려도 쓸모가 없는 것이다. 機緘(기함) : 오묘하고 비밀스런 변화 사물의 발생과 변화의 추진력 사물 변화의 긴급한 상황 《莊子장자》天運천운> 제14에意者其有機緘而不得已乎 의자기유기함이부득이호意者其運轉而不能自止耶 의자기운전이불능자지야혹은 기계적 추진력이 있어 부득이한 것인가?혹은 돌고 ..

69. 中和爲福 偏激爲災 중화위복 편격위재

燥性者火熾 遇物則焚 조성자화치 우물즉분寡恩者氷淸 逢物必殺 과은자빙청 봉물필살 凝滯固執者 如死水腐木 응체고집자 여사수부목生機已絶 생기이절俱難建功業而延福祉 구난건공업이연복지 조급한 성품은 불타올라 사물을 만나면 불태우고적은 은혜는 얼음같아 사물과 만나면 반드시 죽이니 얽매여 고집부리는 것은 고인 물과 썩은 나무처럼생명력이 이미 끊긴 것과 같아 죄다 공로와 업적을 쌓거나 복을 이어가기 어렵다. 燥(조) : 조급하다, 메마르다熾(치) : 불길이 세다, 불이 활활 붙다마치 寡恩(과은) : 박덕함, 각박한 은혜 劉向(유향,bc78-bc8?)의 《戰國策전국책, 秦策진책》에 진나라가 商鞅(상앙)의 변법으로 부국강병해졌으나然刻深寡恩 연각심과은特以强服之耳 특이강복지이그러나 법이 가혹하고 엄격하며 각박한 은혜로유달리 억지로..

70. 養喜多福 去殺遠禍 양희다복 거살원화

福不可徼 복불가요 養喜神 양희신 以爲召福之本而已 이위소복지본이이禍不可避 화불가피 去殺機 거살기 以爲遠禍之方而已 이위원화지방이이 복이란 바라서는 안된다. 즐거운 마음가짐을 기르는 것이 복을 부르는 근본이라 생각할 따름이다.화란 피해서는 안된다. 살기를 없애는 것이 화를 멀리하는 방법이라 생각할 뿐이다. 徼(요) : 구하다, 바라다喜神(희신) : 즐거움이 넘치는 태도. 기쁜 일을 맡아보는 신,  만물을 소생시키는 신=봄을 뜻하기도 한다. 養이란 동사를 썼으니 신은 무리일 것이다.以爲(이위) : 생각하다, 알다而已(이이) : ...일 뿐이다.殺機(살기) : 살의, 살기(남을 해하려는 동기)

71. 謹言愼行 君子之道 근언신행 군자지도

十語九中 십어구중 未必稱奇 미필칭기  一語不中 일어부중 則愆尤騈集 즉건우병집 十謨九成 십모구성 未必歸功 미필귀공  一謨不成 일모불성 則訾議叢興 즉자의총흥 君子所以寧默毋躁 군자소이영묵무조 寧拙毋巧 영졸무교 열 마디 말 중에 아홉의 말이 맞아도 반드시 칭찬받는다 할 수 없다. 한 마디 말이라도 맞지 않으면 허물이 줄지어 모인다.  열에 아홉의 계획이 이뤄져도 반드시 공로로 돌아오지는 않는다.  하나의 계획이라도 이뤄지지 않으면 헐뜯는 소리가 떼지어 일어난다. 군자는 그런 까닭에 침묵할망정 떠들지 않고 서툴망정 재주부리지 않는다. 中(중) : 맞다, 바르다, 들어맞다未必(미필) :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꼭 그렇다고 할 수 없다稱奇(칭기) : (기묘함을) 칭찬하다愆尤(건우) : 허물, 과실, 실수東漢..

72. 殺氣寒薄 和氣福厚 살기한박 화기복후

天地之氣暖則生寒則殺 천지지기난즉생한즉살 故性氣淸冷者 고성기청랭자 受享亦凉薄 수향역량박 唯和氣熱心之人 유화기열심지인 其福亦厚 其澤亦長 기복역후 기택역장 천지의 기운은 따뜻하면 살리고 차가우면 죽인다.그러므로 성정과 기질이 맑고 차가운 자는 대접을 받아도 넉넉하지 못하고오로지 온화한 기색으로 마음을 쏟는 사람만이 복 또한 두텁고 은덕 또한 길다. 性氣(성기) : 성정과 기질 《後漢紀후한기·安帝紀一안제기일》에恣其嗜欲 而莫之禁御 자기기욕 이막지금어性氣既成 不可變易 성기기성 불가변역情意遊蕩 不可收復 정의유탕 불기수복제멋대로 탐하는 것을 눌러 막을 수 없으면 성정과 기질이 이미 이뤄져 바꿀 수 없으며 감정과 뜻이 방탕하니 되찾을 수도 없다.라는 내용이 있다. 淸冷(청랭) : 맑고 차가움, 고결하고 냉담함南朝남조 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