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후집

269. 不希榮達 不畏權勢 불희영달 불외권세

허접떼기 2024. 1. 25. 19:48

오영량(吳永良)의 2009년작 죽림칠현도(竹林七賢圖)

我不希榮 아불희영

何憂乎利祿香餌 하우호이록지향이

我不競進 아불경진

何畏乎仕官之危機 하외호사관지위기

 

나는 영화를 바라지 않는데

어찌 이익과 관록의 미끼를 걱정하겠는가?

나는 앞다퉈 싸우지 않는데

어찌 벼슬살이의 위기를 두려워하겠는가?

 

利祿(이록) : 이익과 관록

香餌(향이) : 냄새 좋은 미끼

사람의 마음을 유혹하는 재물 따위를 비유하는 말

서한의 환관(桓寬)염철론鹽鐵論·포현 褒賢

香餌非不美也 향이비불미야

龜龍聞而深藏 귀룡문이심장

鸞鳳見而高逝 난봉견이고서

미끼가 아름답지 않지는 않았으나

거북과 용이 듣고는 깊이 숨었고

난새와 봉황이 보고는 높이 날아갔네.

라는 구절이 있다.

오산명(吳山明)의 굴원이소(屈原離騷)  경심(鏡心)중에서

 

競進(경진) : 서로 앞다투려 싸우다(=爭進)

초사楚辭<이소離騷>

衆皆競進以貪婪兮 중개경진이탐람혜

憑不厭乎求索 빙불염호구색

모두가 재물을 탐하려 앞다투니

아무리 구하고 찾아도 지치지 않네.

라는 구절이 어원이고

 

후한 왕충(王充,25-220)의 명작

논형論衡<정재程材>

競進不案禮 경진불안례

廢經不念學 폐경불념학

앞다퉈 예의를 살피지 않고

경전을 버렸으니 배우려 하지 않네

라는 구절이 있으며

 

송나라 소동파(蘇東坡,1037-1101)

<왕유오도자화王維吳道子畵>라는 시에

蠻君鬼伯千万万 만군귀백천만만

相排競進頭如黿 상배경진두여원

야만족과 귀신 수천만이

서로 거북이처럼 머리를 앞다퉈 밀치네.

라는 시에도 등장한다.

 

仕官(사관) : 벼슬살이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