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대아(大雅)

1. 문왕지집(文王之什) 5. 한록(旱麓)

허접떼기 2023. 2. 21. 20:21

산동성 유방(濰坊)의 韓愈 필적 鳶飛魚躍 / 출처 new.qq.com

旱麓 榛楛濟濟 첨피한록 진고제제

豈弟君子 祿豈弟 개제군자 간록개제

 

瑟彼玉瓚 黃流在中 슬피옥찬 황류재중
豈弟君子 福祿攸降 개제군자 복록유강

 

天 魚于淵 연비려천 어약우연

豈弟君子 作人 개제군자 하부작인

 

淸酒旣 牡旣備 청주기재 성모기비

以享以祀 以介景이향이사 이개경복

 

柞棫 民所슬피작역 민소료의
豈弟君子 神所개제군자 신소로의

 

莫莫葛藟 施于 막막갈류 시우조매

豈弟君子 求福不 개제군자 구복불회

 

저 한산 기슭 쳐다보니 개암과 싸리나무 무성하네

단아하고 공손한 군자가 복을 구하니 편안하고 점잖네

 

옥찬은 곱고 안에 울창주가 들었네

단아하고 공손한 군자가 복록을 내려받네

 

솔개가 날아 하늘에 오르고 물고기는 못에서 뛰네

단아하고 공손한 군자가 어찌 인재를 키우지 않으랴?

 

맑은 술이 차려졌고 붉은 소도 준비되어

제사지내고 큰 복을 비네.

 

저 떡갈과 상수리나무 우거져 백성의 땔감이라

단아하고 공손한 군자, 신이 위로하네

 

드넓은 칡덩굴 나뭇가지 줄기로 뻗었네

단아하고 공손한 군자, 복을 구하니 어긋나지 않네

 

() : 우러러보다

() : () 이름, 섬서성 남정(南鄭)부근

() : 산기슭

榛楛(진고) : 관목, 개암나무, 싸리나무

濟濟(제제) : 많고 무성함

豈弟(개제) : 용모 단아하고 기상이 공손하다(愷悌)

여씨춘추呂氏春秋<불굴不屈>에는

이라한다. <대아,형작>참고

() : 구하다

() : 곱다

玉瓚(옥찬) : 자루가 다린 제사용 술 그릇

玉瓚(옥찬) 圭瓚(규찬) / 출처 baidu.com

() : 황금이나 금박이/ 울창주(鬱鬯酒)

() : 검은 기장에 울금향을 넣은 술(거창𩰤𥠴)

() : 솔개  () : 다다르다  () : 뛰다

() : 어찌()

作人(작인) : 인재를 양성하다. 위인, 인품

() : 진설하다    騂牡(성모) : 붉은 소

() : 의 가차로 빌다  () : 크다()

() : 많다  柞棫(작역) : 떡갈나무와 상수리나무

() : 땔나무    () : 위로하다

莫莫(막막) : 드넓다   葛藟(갈류) : 칡덩굴

() : 나뭇가지   () : 줄기

() : 어기다/바르지 않다()

선조의 도리에 어긋나지 않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