喓喓草蟲 趯趯阜螽 요요초충 약약부종
未見君子 憂心忡忡 미견군자 우심충충
亦旣見止 亦旣覯止 역기견지 역기구지
我心則降 아심즉강
陟彼南山 言采其蕨 척피남산 언채기궐
未見君子 憂心惙惙 미견군자 우심철철
亦旣見止 亦旣覯止 역기견지 역기구지
我心則說 아심즉열
陟彼南山 言采其薇 척피남산 언채기미
未見君子 我心傷悲 미견군자 아심상비
亦旣見止 亦旣覯止 역기견지 역기구지
我心則夷 아심즉이
요~요~쌕쌔기 울고 펄쩍펄쩍 메뚜기 뛰네
아직 님을 못 봐 걱정이 가득한데
만약 볼 수 있다면, 만날 수 있다면
내 마음 곧 가라앉을텐데
저 남산에 올라 고사리를 캐네
아직 님을 못 봐 걱정이 깊건마는
만약 볼 수 있다면, 만날 수 있다면
내 마음 곧 기쁠 텐데
저 남산에 올라 고비를 캐네
아직 님을 못 봐 내 마음 아프고 슬픈데
만약 볼 수 있다면, 만날 수 있다면
내 마음 곧 편해질 텐데
喓喓(요요) : 벌레의 울음소리
草蟲(초충) : 풀벌레, 쌕쌔기, 누리(蝗蟲)
趯趯(약약) : 벌레가 뛰는 모양
阜螽(부종) : 메뚜기
忡忡(충충) : 가득하다, 근심하는 모양
亦(역) : 만약(若)
止(지) : 그것(之)/조사라는 설도 있다
覯(구) : 만나다
降(강) : 내리게 하다, 가라 앉다
일설은 항으로 읽어 기쁘다로 해하기도 한다
陟(척) : 오르다
言(언) : 조사, 이에. 語氣를 나타낸다
蕨(궐) : 고사리
惙惙(철철) : 근심이 깊은 모양
說(설,열,세,탈) : 기쁘다(열)
薇(미) : 고비
傷悲(상비) : 아파하며 슬퍼하다
夷(이) : 평안하다. 떳떳하다
<주남,권이>와 더불어 멀리 나간 님을 그리는 노래다.
'시경(詩經) > 국풍(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소남(召南) 1. 작소(鵲巢) (0) | 2022.07.07 |
---|---|
2. 소남(召南) 2. 채번(采蘩) (0) | 2022.07.06 |
2. 소남(召南) 4. 채빈(采蘋) (0) | 2022.07.06 |
2. 소남(召南) 5. 감당(甘棠) (0) | 2022.07.06 |
2. 소남(召南) 6. 행로(行露)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