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王有聲 遹駿有聲 문왕유성 휼준유성
遹求厥寧 遹觀厥成 휼구궐녕 휼관궐성
文王烝哉 문왕증재
文王受命 有此武功 문왕수명 유차무공
旣伐于崇 作邑于豊 기벌우숭 작읍우풍
文王烝哉 문왕증재
문왕의 명성은 빼어난 명성이라
안녕을 구함과 이룸을 지켜보니
문왕은 훌륭한 왕이로다.
문왕은 명을 받아 이같은 무공이 있으니
숭국을 정벌하였고 풍에 도읍을 하였네
문왕은 훌륭한 왕이로다.
聲(성) : 명성, 명예
遹(휼) : 발어사
陳奐(진환,1785-1863)은 《鄭箋》을 인정하지 않았다.
《毛詩傳疏》에서 “이 시에 4번의 遹은 曰과 聿처럼 발어사”라 했다.
《說文》의 ‘欥求厥寧’를 인용 欥(율,일)이 ‘오직, 드디어’의 뜻이나 發聲을 가리키는 것이기에
아울러 모두 가차(假借)의 발어사라 한다
駿(준) : 뛰어나다, 크다. 厥(궐) : 그, 그것의
烝(증) : 아름답다, 훌륭하다 《爾雅》에는 ‘君’이라 함
于(우) : 국명, 邘(우)로 하남성 심양(沁陽) 서북이다
崇(숭) : 국명, 주문왕이 숭후 호(虎)를 토벌하였다
지금의 섬서성 호현(鄠縣)이다.
豊(풍) : 지명, 崇나라에 속했고, 豐水 서안이다.
築城伊淢 作豊伊匹 축성이역 작풍이필
匪棘其欲 遹追來孝 비극기욕 휼추래효
王后烝哉 왕후증재
王公伊濯 維豊之垣 왕공이탁 유풍지원
四方攸同 王后維翰 사방유동 왕후유한
王后烝哉 왕후증재
성을 해자 따라 짓고 풍읍도 걸맞게 지었네
바라는 바를 서두르지 않고 지난 효업을 뒤따르니
임금은 훌륭하도다
왕의 공이 크니 풍읍의 울타리요
사방에서 모이니 왕은 기둥이라
임금은 훌륭하도다
伊(이) : 발어사, 3인칭 대명사(그, 그이, 그녀)로 쓰임은 위진남북조 이후였다가 강남 복건성 지역의 방언에만 존재하며 5.4운동이후로는 여성에게만 쓰며 她로 대체되었다.
淢(혁) : 성 둘레 해자(洫)
주자는 해자를 새로이 팠다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시설에 성을 쌓았다 한다.
匹(필) : 적합하다 棘(극) : 급하다
追(추) : 뒤따르다 來孝(래효) : 지난(往) 효도
王后(왕후) : 임금, 여기서는 문왕을 일컫는다
公(공) : 功과 통한다
濯(탁) : 본의인 ‘씻다’에서 빛나다, 크다로 확장됨
垣(원) : 담, 벽, 울타리
同(동) : 회동하다, 모이다 翰(한) : 기둥(간幹)
豊水東注 維禹之績 풍수동주 유우지적
四方攸同 皇王維辟 사방유동 황왕유벽
皇王烝哉 황왕증재
鎬京辟廱 自西自東 호경벽옹 자서자동
自南自北 無思不服 자남자북 무사불복
皇王烝哉 황왕증재
풍수가 동으로 흐르는 것은 우임금의 업적이라
사방에서 모이고 위대한 왕이 임금이 되니
위대한 왕은 훌륭한 임금이라네.
호경에서 행례와 주악을 여니 서에서 동에서
남에서 북으로부터 복종하지 않음이 없으니
위대한 왕은 훌륭한 임금이라네.
豊水(풍수) : 강 이름 注(주) : (물이) 흐르다
禹(우) : 전설의 하나라 시조, 요(堯)의 치세에 홍수가 나자 당시 섭정인 순(舜)이 치수를 명하여 성공하고 후에 순의 뒤를 이어 왕에 오르자 국명을 夏로 바꾸고 안읍(安邑)에 도읍했다.
皇(황) : 위대하다 辟(벽) : 임금
鎬京(호경) : 무왕이 옮겨간 주나라 수도
辟廱(벽옹) : 고대 중국의 대학
문왕이 귀부하는 백성을 위해 행례(行禮)와 주악(奏樂)을 열던 별궁
思(사) : 조사
考卜維王 宅是鎬京 고복유왕 택시호경
維龜正之 武王成之 유구정지 무왕성지
武王烝哉 무왕증재
豊水有芑 武王豈不仕 풍수유기 무왕개불사
詒厥孫謀 以燕翼子 이궐손모 이연익자
武王烝哉 무왕증재
점를 쳐 살펴 왕이 고른 것이 호경이라
거북이 점도 바르다 하는데 무왕이 이루었도다.
무왕은 훌륭한 임금이네.
풍수에 흰차조가 있으니 무왕이 어찌 일하지 않으리!
순종의 계책을 남겨 자손을 편안히 하고 도움을 주니
무왕은 훌륭한 임금이네.
宅(택) : 고르다. 擇과 통한다. 劉熙(류희) 《釋名》
芑(기) : 주로 고서에 나오며 흰 차조, 지황을 말함
미나리는 설도 있고 杞와 통하여 구기자라고도 함.
仕(사) : 일하다(事) 《毛傳》
詒(이) : 끼치다, 남기다. 孫(손) : 遜과 통하여 따르다
謀(모) : 지략, 계책
燕翼(연익) : 자손을 생각하다.
燕은 편안히 하다. 翼은 돕다로
‘燕翼怡謀’ ‘燕謀’의 예로 쓰인다
'시경(詩經) > 대아(大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문왕지집(文王之什) 8. 영대(靈臺) (0) | 2023.02.11 |
---|---|
1. 문왕지집(文王之什) 9. 하무(下武) (2) | 2023.02.10 |
2. 생민지집(生民之什) 1. 생민(生民) (0) | 2023.02.08 |
2. 생민지집(生民之什) 2. 행위(行葦) (0) | 2023.02.07 |
2. 생민지집(生民之什) 3. 기취(旣醉) (2)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