進德修道 진덕수도
要個木石的念頭 요개목석지염두
若一有欣羨 약일유흔선
便趨欲境 변추욕경
濟世經邦 제세경방
要段雲水的趣味 요단운수적취미
若一有貪著 약일유탐착
便墮危機 변타위기
덕을 쌓고 도를 닦으려면
반드시 하나의 목석같은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만약 하나라도 부러움이 있다면
곧 욕망의 경지로 향하게 된다.
세상을 구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반드시 얼마간 행각승 같은 취미가 있어야 한다.
만약 하나라도 탐을 내서 집착한다면
곧 위험한 상황에 빠지게 된다.
進德(진덕) : 덕을 쌓다, 힘쓰다,더하다
《易經역경·乾卦건괘》에
忠信所以進德也 충신소이진덕야
충직하고 믿음직해야 덕을 쌓는다. 라는 글이 있다.
要(요) : 마땅히...해야 한다.
個(개) : 하나, 낱낱
念頭(염두) : 머리속의 생각, 마음속
欣羨(흔선) : 흠모하여 부러워하다.
南朝남조 宋나라 王彧(왕욱,字:景文,413-472)의
《自陳求解揚州자진구해양주》의
久懷欣羨 未敢干請 구회흔선 미감간청
오래 부러움을 품었으나 아직 감히 청하지 않았네.
라는 구절에 보인다.
便(변) : 곧, 즉시
趨(추) : 향해 가다(=就), 뒤쫓다.
濟世經邦(제세경방) : 세상을 구하고 나라를 다스리다
《後漢書후한서·盧植傳노식전》
性剛毅有大節 성강의유대절
常懷濟世志 상회제세지
성품이 강직하고 절개가 있고
늘 세상을 구할 뜻을 품었다.
라는 조조가 극찬했던 노식에 대한 글에서 보이며,
《周禮주례·大宰대재》에
大宰之職... 대지지직...
一曰治典以經邦國 일일치전이경방국
대재의 자리는 ...
날마다 법전으로 바로잡아 나라를 다스린다.
라는 구절에 보인다.
段(단) : 일정한 시간, 공간, 구간
雲水(운수) : 운수승(雲水僧), 행각승(行脚僧)
탁발하러 돌아다니는 승려들을 말한다.
마치 구름처럼 물처럼 욕심없이 다니기에 그렇다.
貪著(탐착) : 욕구를 탐하며 집착함. 연연해하다
《法華經법화경》<序品서품>의
是妙光法師 時有一弟子 시묘광법사 시유일제자
心常懷懈怠 貪著於名利 심상회해태 탐착어명리
求名利無厭 多遊族姓家 구명리무염 다유족성가
묘광법사에게 당시에 한 제자가 있었으니,
마음이 늘 게으르고 명리를 탐하여 집착하고,
명리를 구함에 물림도 없고, 명가들과 많이 어울려
라는 내용에 보인다.
墮(타) : 빠지다, 떨어지다
'채근담(菜根譚) > 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修德忘名 讀書深心 수덕망명 독서심심 (3) | 2024.09.18 |
---|---|
45. 眞僞之道 只在一念 진위지도 지재일념 (4) | 2024.09.16 |
47. 吉人安祥 凶人殺機 길인안상 흉인살기 (1) | 2024.09.14 |
48. 君子無禍 勿罪於冥 군자무화 물죄어명 (0) | 2024.09.13 |
49. 多心招禍 少事爲福 다심초화 소사위복 (1)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