施恩者 시은자
內不見己外不見人 내불견기외불견인
卽斗粟 可當萬鍾之惠 즉두속가당만종지혜
利物者 이물자
計己之施責人之報 계기지시책인지보
雖百鎰難成一文之功 수백일난성일문지공
은혜를 베푸는 사람이
안으로 자기를 보지 말고 밖으로 남을 보지 않으면
한 말의 곡식이 수만 가지 은혜가 될 수 있음이며,
이로운 일을 하는 사람이
자기가 베푼 것을 셈하고 남의 보답을 바란다면
수만금의 돈으로도 한 푼의 공을 이루기 어렵다.
斗粟(두속) : 한 말의 곡식.
當(당) : 감당하다, 상당하다.
萬鍾(만종) : 옛 중국의 양을 재는 그릇 이름으로
아주 많은 양. 수만 가지를 의미함.
《文選문선.班固반고,東都賦동도부》에
于是庭寶千品 旨酒萬鍾 우시정보천품 지주만종
궁정에 보배가 수천이요 맛난 술이 수만 가지네.
라는 글이 있다.
利物(이물) : 1. 이로운 일을 하다.
《莊子장자,天地천지》에
愛人利物之謂仁 애인이물지위인
백성을 사랑하여 이로운 일을 하는 걸 인이라 한다.
라는 내용이 있다.
2. 모든 만물을 이롭게 하다
《易經역경,乾건》에
嘉會足以合禮 가회족이합례
利物足以和義 이물족이화의
즐거운 모임에서 족히 예와 화합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여 의와 어울리기 족하다.
라는 내용이 있다.
計(계) : 셈하다, 계산하다
責(책) : 요구하다, 바라다, 받아내다
百鎰(백일) : 수 많은 돈
황금 무게 단위로 20냥 혹은 24냥이 1鎰이다.
1냥이 10돈이니, 백일은 현싯가 80억원 이상이다
一文(일문) : 한 푼.
'채근담(菜根譚) > 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方圓處世 寬嚴待人 방원처세 관엄대인 (0) | 2024.09.12 |
---|---|
51. 忘功念過 忘怨記恩 망공념과 망원기은 (0) | 2024.09.11 |
53. 推己及人 方便法門 추기급인 방편법문 (1) | 2024.09.10 |
54. 惡人讀書 適以濟惡 악인독서 적이제악 (1) | 2024.09.01 |
55. 崇儉養廉 守拙全眞 숭검양렴 수졸전진 (0) | 202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