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후집

338. 雨後山淸 靜中鐘揚 우후사청 정중종양

허접떼기 2023. 11. 15. 15:18

산중세우(山中細雨) 출처 m.gmw.cn/2021-11-26

觀山色 우여관산색

景象便覺新姸 경상변각신연

夜靜聽야정청종성

音響尤爲淸越 음향우위청월

 

비 내린 뒤 산의 빛깔을 쳐다보니

경관이 문득 새롭게 예쁘다 느껴지고

밤은 조용한데 종소리 들리니

소리의 울림이 더욱 맑고 높구나!

 

() : ...한 뒤(나머지)

景象(경상) : 산과 물 등의 아름다운 모습

의 차이

쇠북을 나타내는 본디 글자는 이다.

鐘의 아이 은 떠오르는 에밀레 일화의 경우는 아니고 그저 음이다

은 성루에 걸어 타격하여 시간을 알리던 도구였다.

그래서 시간의 뜻을 가진다.

지금도 중국은 지금 몇시냐?現在几點鐘?라 한다.

은 예전 술 그릇의 하나로 의 단위로 쓰였다.

은 쇠그릇으로 술잔으로 제례의 악기로 확장되어 시부모와 쇠북의 가지게 되었다.

淸越(청월) : 소리가 맑고 가락이 높음

고문에 적힌 용례로는 다음과 같다.

예기(禮記),빙의(聘義)에는叩之 其聲淸越以長

그것을 두드리니 소리가 맑고 오래도록 높구나!”

동파(東坡) 소식(蘇軾)《석종산기石鐘山記에는

得雙石於潭上 扣而聆之 南聲函鬍 北音清越

못가에서 주운 돌 두 개를 두들겨 들어보니

남쪽 것은 크고 둔탁했으나 북쪽 것은 맑고 높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