予其懲 而毖後患 여기징 이비후환
莫予荓蜂 自求辛螫 막여병봉 자구신석
肇允彼桃蟲 拚飛維鳥 조윤피도충 반비유조
未堪家多難 미감가다난
予又集于蓼 여우집우료
내 경계하려는 것은 후환을 조심하려는 것이며
내 벌로 하여금 절로 독을 부르지 않겠다.
처음엔 정말로 뱁새였다가 휙 날아 큰 새가 되듯
왕가의 다난함을 견디지 못하고
내 또 뱁새처럼 여뀌풀에 앉아있구나!
其(기) : 조사로 반문/응당/장차/추측의 뜻을 갖는다
여기서는 장차의 뜻이겠다
懲(징) : 징벌하다, 경계하다
毖(비) : 삼가다, 조심하다
荓(병) : ①풀의 이름
② ~로 하여금 ~하게 하다
辛(신) : 독하다
螫(석) : ① (벌레가) 쏘다 ② 해독
肇(조) : 비롯하다, 시작하다 允(윤) : 진실로
桃蟲(도충) : 뱁새(鷦鷯초료)
拚(변,반,분) : 나는 모양(반)
鳥(조) : 여기서는 뱁새보다 큰 새
초료생분(鷦鷯生鵰)이란 말이 있다.
시작은 작았으나 커지는 것을 말한다.
堪(감) : 견디다 家(가) : 여기서는 왕가를 말함
蓼(료,륙,로,류) : 여뀌(료), 괴로움
'시경(詩經) > 송(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송(周頌) 3. 민여소자지집(閔予小子之什) 2. 방락(訪落) (0) | 2023.04.19 |
---|---|
주송(周頌) 3. 민여소자지집(閔予小子之什) 3. 경지(敬之) (1) | 2023.04.18 |
주송(周頌) 3. 민여소자지집(閔予小子之什) 5. 재삼(載芟) (1) | 2023.04.14 |
주송(周頌) 3. 민여소자지집(閔予小子之什) 6. 양사(良耜) (1) | 2023.04.06 |
주송(周頌) 3. 민여소자지집(閔予小子之什) 7. 사의(絲衣)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