鳧鷖在涇 부예재경 경수에 물오리 갈매기 있듯
公尸來燕來寧공시래연래녕 공시께 잔치하여 모시네
爾酒旣淸 이주기청 그대의 술은 맑고
爾殽旣馨 이효기형 그대의 안주는 향내 나
公尸燕飮 공시연음 공시가 즐거이 마시니
福祿來成 복록래성 복록이 이루어지리
鳧鷖在沙 부예재사 모래에 물오리 갈매기 있듯
公尸來燕來宜공시래연래의 공시께 잔치하니 드시네
爾酒旣多 이주기다 그대의 술은 많고
爾殽旣嘉 이효기가 그대의 안주는 훌륭하여
公尸燕飮 공시연음 공시가 즐거이 마시니
福祿來爲 복록래위 복록이 이루어지리
鳧鷖在渚 부예재저 물가에 물오리 갈매기 있듯
公尸來燕來處공시래연래처 공시께 잔치하니 쉬시네
爾酒旣湑 이주기서 그대의 술은 걸러졌고
爾殽伊脯 이효이포 그대의 안주는 육포라
公尸燕飮 공시연음 공시가 즐거이 마시니
福祿來下 복록래하 복록이 떨어지리
鳧鷖在潨 부예재총 물들이에 물오리 갈매기 있듯
公尸來燕來宗공시래연래종 공시께 잔치하여 높이네
旣燕于宗 기연우종 종묘에서 잔치 열었으니
福祿攸降 복록유강 복록이 내려지고
公尸燕飮 공시연음 공시가 즐거이 마시니
福祿來崇 복록래숭 복록이 채워지리
鳧鷖在亹 부예재미 골어귀 물오리 갈매기 있듯
公尸來止熏熏공시래지훈훈 공시가 오셔 훈훈하네
旨酒欣欣 지주흔흔 잘 익은 술은 그득하고
燔炙芬芬 번적분분 구운 고기 냄새가 좋아
公尸燕飮 공시연음 공시가 즐거이 마시니
無有後艱 무유후간 어려움이 있을 리 없으리
鳧鷖(부예) : 물오리와 갈매기 涇(경) : 涇水
公尸(공시) : 군주나 제후의 시동(尸童)
고대 중국의 제사에는 신위 대신 시동을 앉혔다.
來(래) : 동사 앞에서 그 동사의 적극성을 의미함
燕(연) : 잔치하다 寧(녕) : 편안히 하다, 대접하다
馨(형) : 향내 나다
宜(의) : 안주 / 흠향하다 / 도리에 따르다(주자)
마서진은 ‘신이 그 제사를 흠향함을 통칭 宜’라 한다.
爲(위) : 되다, 이루어지다
《鄭箋》은 “助와 같으며 ‘성왕(成王)을 돕다”라 함
渚(저) : 물가, 모래톱 處(처) : 쉬다, 앉아 있다.
湑(서) : 거르다 伊(이) : 어조사 脯(포) : 말린 고기
下(하) : 떨어지다
潨(총) : 물들이(합수머리) 宗(종) : 높이다
宗(종) : 종묘 攸(유) : 所 崇(숭) : 채우다, 높이다
亹(미) : 골어귀
熏熏(훈훈) : 훈훈하다/ 취하다/ 기쁘다
하해(何楷, ?-1645)는 《設文》에 의거 醉라 함
유월(兪樾,1821-1907)은 아래 欣欣과 같다 함
旨(지) : 잘 익다 欣欣(흔흔) : 기쁘다. 많은 모양
燔炙(번적) : 구운 고기 芬芬(분분) : 향기롭다
艱(간) : 어려움, 고생
'시경(詩經) > 대아(大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생민지집(生民之什) 2. 행위(行葦) (0) | 2023.02.07 |
---|---|
2. 생민지집(生民之什) 3. 기취(旣醉) (2) | 2023.02.02 |
2. 생민지집(生民之什) 5. 가락(假樂) (2) | 2023.01.31 |
2. 생민지집(生民之什) 6. 공류(公劉) (2) | 2023.01.31 |
2. 생민지집(生民之什) 7. 형작(泂酌) (2) | 202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