常棣之華 鄂不韡韡 상체지화 악불위위
凡今之人 莫如兄弟 범금지인 막여형제
死喪之威 兄弟孔懷 사상지위 형제공회
原隰裒矣 兄弟求矣 원습부의 형제구의
脊令在原 兄弟急難 척령재원 형제급난
每有良朋 況也永歎 매유양붕 황야영탄
兄弟鬩于牆 外禦其務 형제혁우장 외어기모
每有良朋 烝也無戎 매유양붕 증야무융
喪亂旣平 旣安且寧 상란기평 기안처녕
雖有兄弟 不如友生 수유형제 불여우생
儐爾籩豆 飮酒之飫 빈이변구 음주지어
兄弟旣具 和樂且孺 형제기구 화락차유
妻子好合 如鼓瑟琴 처자호합 여고슬금
兄弟旣翕 和樂且湛 형제기흡 화락차담
宜爾室家 樂爾妻帑 의이실가 악이천노
是究是圖 亶其然乎 시구시도 단기연호
산앵도나무 꽃은 꽃받침을 활짝 열지는 않네
모든 지금 사람들 형제만은 못하네
죽고 장사 치르는 두려움에 형제가 제일 생각나고
언덕과 펄에 묻으려 모이면 형제를 찾는 것이네
할미새가 언덕에 있듯 형제는 서둘러 곤란에서 돕네
비록 좋은 벗이 있어도 멍하니 오래 탄식할 뿐이지
형제는 담안에서 다퉈도 밖에서는 모욕을 막아내네
비록 좋은 벗이 있어도 오래도록 돕지 않는 것이지
장례와 난리가 정리되니 편안하고 평안하니
비록 형제가 있어도 벗만 못하다 하는거지
네가 많은 음식을 차려놓아 마시고 먹어 배부르니
형제가 모두 모여 서로 즐기고 친하게 지내네
처자식이 좋게 화합함이 비파와 거문고 같고
형제가 사이가 좋아 화락하고 즐기네
너의 집안을 화목히 하고 처자식을 즐겁게 하고
궁리하고 도모하면 정말로 그럴 것이네.
常棣(상체) : 棠棣(당체), 산앵도나무
鄂(악) : 꽃받침(萼)
不(불) : 일설에는 ‘丕’로 크다라고도 한다.
韡韡(위위) : 활짝 피다 / 빛나다<毛傳>
△ 산앵도나무는 꽃받침을 활짝 열지 않고도 도탑게 어울려 핀다.
<鄭箋>은 ‘鄂不韡韡’의 不을 跗으로 하여 鄂不를 묶어 꽃받침이라 하고, 일설은 韡韡를 울긋불긋하다고 하는데 감히 附會라고 말하고 싶다.
威(위) : 두려움
孔懷(공회) : 크게 생각한다. 우선 떠오른다.
原隰(원습) : 언덕과 펄 裒(부) : 모이다
주검을 묻으려 언덕과 진펄에 모인다는 것이다<詩集傳>
脊令(척령) : 鶺鴒 할미새
할미새는 물새인데 언덕에 있으니 곤란한 지경이라는 것이다
急難(급난) : 急于難 급히 서둘러 재난에서 구원하다
每(매) : 비록 良朋(양붕) : 좋은 친구
況也(황야) : 더욱 더, 한층 / 멍하다(怳) /조사
鬩(혁) : 다투다 牆(장) : 담
禦(어) : 막아내다 務(모) : 업신여기다(侮)
烝(증) : 오래다/발어사 戎(융) : 돕다
旣(기)...且(차)... : ...하고 ...하다
生(생) : 사람
儐(빈) : 대접하다. 차려놓다
籩豆(변두) : 고대 제기, 음식을 담은 그릇
飫(어) : 물리다. 배부르다 / 같은 집안의 잔치
孺(유) : 친근하다
瑟琴(슬금) : 비파와 거문고, 서로 화합함을 비유
翕(흡) : 모으다 사이가 좋다
湛(담,침,잠,점,음) : 괴다,즐기다(담)
宜(의) : 화목하다
帑(탕,노) : 처자, 자손(노) 孥와 같다
究(구) : 궁리하다 圖(도) : 도모하다
亶(단) : 진실로 참으로
其然(기연) : 그렇다. 其然, 未然, 기연가 미연가가 긴가민가의 원형이다.
이 노래는 2연 8장으로 되어 있으나
임의로 4연 4장으로 구성했다
경북 풍산에 체화정(棣華亭)이 있다. 만포(晩圃) 이민적(李敏迪, 죽서 이민적과는 다른 위인이다)이 형 옥봉 이민정과 한께 살면서 형제의 우의를 다진 곳이다. 단원 김홍도가 1783년 안동의 안기산 아래 안기(安奇) 역참 찰방(察訪)을 제수받아 1786년까지 지냈고 예안이씨의 부탁으로 이곳에 담락재(湛樂齋)라는 현판을 써줬다.
棣華에 和樂且湛의 글자를 대응하여 쓴 것이다.
'시경(詩經) > 소아(小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녹명지집(鹿鳴之什) 2. 사모(四牡) (1) | 2023.01.04 |
---|---|
1. 녹명지집(鹿鳴之什) 3. 황황자화(皇皇者華) (0) | 2023.01.03 |
1. 녹명지집(鹿鳴之什) 5. 벌목(伐木) (0) | 2023.01.01 |
1. 녹명지집(鹿鳴之什) 6. 천보(天保) (0) | 2022.12.30 |
1. 녹명지집(鹿鳴之什) 7. 채미(采薇) (1)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