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소아(小雅)

3. 홍안지집(鴻鴈之什) 8. 아행기야(我行其野)

허접떼기 2022. 12. 20. 14:39

가죽나무 / 두산피아

我行其野 蔽芾 아행기야 폐비기저

昏姻之故 言就爾居 혼인지고 언취이거
爾不我 復我邦家 이불아휵 복아방가

 

我行其野 言采其 아행기야 언채기축

昏姻之故 言就爾宿 혼인지고 언취이숙

爾不我畜 言歸이불아휵 언귀사복

 

我行其野 言采其 아행기야 언채기복

不思舊姻 求爾新 불사구인 구이신특

不以富 亦以異 성불이부 역지이이

 

내 들판을 지나다 작은 가죽나무에 이르렀네

사돈의 인연으로 그대와 함께 사는데

그대가 날 아끼지 않으니 내 나라로 돌아가려네

 

내 들판을 지나다 소리쟁이를 캐네

사돈인지라 그대와 함께 자는데
그대가 나를 아끼지 않으니 되돌아가려네

 

내 들판을 지나다 메꽃을 꺽네

오랜 사위댁을 생각지 않고 새 짝을 찾는데

참으로 부자여서가 아니라 그저 남달라서라지

 

蔽芾(폐불) : 작거나 어린 모양(폐비), 또는 무성한 모양(폐불)

蔽는 이르다와 무성한 모양을

芾는 작은 모양(비)고 우거지다(불)를 아울러 뜻하는데

蔽를 동사로 芾는 형용사로 해하였다.

노래의 의미상 우거지다는 다소 동떨어지고

자신의 불쌍한 처지를 대신하는 표현으로 보아

작고 어린 모양을 뜻한다고 본다

(저) : 가죽나무, 쓸모없는 나무

昏姻(혼인) : 서로 사돈되는 이를 부르는 말 <鄭箋>

아내의 친정 살붙이를 婚, 사위의 집이나 아버지를 姻이라 부른다

(언) : 어조사

(취) : 곧, 사실이 그렇다는 의미로 틀림없이, 원래부터 그러하다는 것을 강조

爾居(이거) : 너와 함께 산다(爾一起居住)

(축,휵) : 아끼다, 부양하다(휵)

(축) : 소리쟁이, 쓸모없는 풀(뿌리는 건위제로 씀)

소리쟁이 / 네이버

(사) : 문장 가운데나 뒤에 쓰는 조사

(복) : 메꽃. 일설은 䔰(부)와 같다며 무라고도 한다

메꽃

(특) : 배필, 수컷의 뜻도 있어 남자 짝을 말함.

(성) : 진실로(誠으로 쓴 기록도 있음)

(지) : 다만, 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