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국풍(國風)

3. 패풍(邶風) 13. 간혜(簡兮)

허접떼기 2022. 6. 11. 21:23

출처/sohu.com

兮簡兮 方將萬舞 간혜간혜 방장만무
日之方中 在前上處 일지방중 재전상처

俁俁 公庭萬舞 석인우우 공정만무

 

有力如虎 執 유력여호 집비여조

左手執 右手秉 좌수집약 우수병적
渥赭 公言錫爵 혁여악자 공언석작

 

山有 隰有 산유진 습유련

誰之 西方美人 운수지사 서방미인

彼美人兮 西方之人兮 피미인혜 서방지인혜

 

설렁설렁 바야흐로 만무를 추려는데

해는 한낮이고 맨 앞 첫 자리에 있네

덩치 큰 사람이 제후의 뜰에서 만무를 추네

 

힘은 범 같고 비단 끈 짜듯 고비를 쥐고

왼손엔 피리를 오른손엔 꿩 깃털을 잡았네

얼굴이 두터이 붉어지니 공이 술을 내리네

 

산에는 개암나무 진펄에는 연꽃

누가 생각나는가? 서쪽의 미인이라네

미인이로다 서쪽의 사람이로다

 

簡(간) : 간략하다. 설렁설렁

 <孔疏>는 크다(大德)고 하고

 <鄭箋>은 가리다, 고르다(擇)라 하고

 주자는 간이(簡易)하여 불공(不恭)이라 하였다.

 유월(兪樾,1821-1906)은

 춤추는 이의 관점에서 크다, 씩씩하다 하였으며

 본토발음으로 북소리라는 해석도 있다.

 簡이 간단하다, 간략하다의 본 의미를 벗어남은 무리라고 본다.

萬舞(만무) : 문무와 무무를 합쳐 총칭의 의미

 <毛傳>에 “방패춤과 깃털춤이 만무”라 하였다.

 (以干羽爲萬舞)

 <毛傳>만을 해설하되

 전한(前漢) 이전의 설을 널리 증명하였지만

 정현의 전<鄭箋>이 삼가시(三家詩) 바탕이라

 따로 고증한 청대 진환(陳奐,1785-1863)은

 <모시전소毛詩箋疏>에서

 “방패춤은 무사의 춤이고, 깃털춤은 문사의 춤”

 이라 하며 “萬이란 두 춤을 겸하여 이름한다”

 고 하였다

 (干舞武舞 羽舞文舞 曰萬者又兼二舞以爲名也)

碩(석) : 크다

俁俁(우우) : 몸집이 크다.

公庭(공정) : 위나라 제후, 공작의 뜰,

  종묘의 공정이란 설도 있다.

轡(비) : 고삐

組(조) : 비단으로 짠 끈

 執轡如組(집비여조)는 <정풍,대숙우전>에도 보인다

籥(약) : 피리

翟(적) : 꿩깃

 중국의 文舞를 할 때 잡고 추던 도구.

 용머리를 조각한 짤막한 나무 자루 끝에

 용알과 암꿩의 꼬리털을 꽂아 맴.

赫(혁) : 붉은 모양

渥(악,우,옥) : 두텁다. 윤기가 나다.

赭(자) : 붉은 흙, 붉은 빛

公(공) : 위나라 제후

錫(석) : 하사하다

爵(작) : 고대중국의 술 그릇.

 따뜻함이 오래 가도록 청동으로 만듬

榛(진) : 개암나무, 잡목 숲

 <조풍,시구>에도 쓰여있다.

苓(령) : 도꼬마리, 감초, 참으아리, 지황 등

 여러 식물이 언급된다.

 <毛傳>에는 大苦, 즉 참으아리

 <鄭箋>에는 감초라는데

 진펄에 도꼬마리, 복령, 감초가 있을까?

 참으아리는 습지를 좋아한다.

 苓은 연꽃을 의미할 때는 연으로 읽는다.

云(운) : 조사로 의미는 없다.

思(사) : 생각하다, 그리워하다.

西方(서방) : 서주(西周)라는 설이 있다.

美人(미인) : 무용수를 지칭하는데

 위공(衛公)이라는 설이 있다.

 

西方은 <毛詩序>의 해처럼 西周라는 설이 수긍이 된다.

서쪽의 미인은 주 문왕이나 무왕을 연상시키고

마직막 행의 미인은 지금 위나라 제후의 마당에서 춤을 추고 있는 사람이다.

한자가 표의문자고 뜻이 여러 가지다 보니

애초에 쓴 사람의 의도를 헤아리려

여러 학자들이 주석을 달아 책을 낸다.

그중 마땅하다 싶은 것을 취하면 그만이라 생각된다.

 

이 시는 3행 3절이었으나 주자가 4절로 정리하여 지금에 이른다고 한다.

딴지를 거는 것이 아니라 풀어보니 3해 3절이 더 적절하다고 느낀다.

개암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