居卑而後知登高之爲危 거비이후지등고지위위
處晦而後知向明之太靄 처회이후지향명지태애
守靜而後知好動之過勞 수정이후지호동지과노
養默而後知多言之爲躁 양묵이후지다언지위조
낮은 곳에 살은 뒤 높은 데 오름이 위험함을 알고,
어둔 곳에 있은 뒤 밝은 데 감이 꽤 눈부심을 안다.
고요함을 지킨 후에야 활발함이 과로임을 알고,
침묵을 길러본 후에야 다변이 조급함임을 안다.
居卑(거비) : 낮은 곳에 거하다(살다)
晦(회) : 어둡다, 캄캄하다
太(태) : 매우, 너무
靄(애) : 아지랑이, 구름이 모여 있는 곳
여기서는 드러남, 눈이 부심을 말함
守靜(수정) : 고요함(청정)을 지키다.
《道德經도덕경》16장은 歸根章이라고도 하며,
致虛極 守靜篤 치허극 수정독
萬物竝作 吾以觀其復 만물병작 오이기관기복
텅 빔을 지극히 하고 고요함을 지키기를 굳게하라
만물이 어울려 일어날 때 나는 그 돌아감을 본다.
라고 시작하다
好動(호동) : 움직이기 좋아하다, 활발하다
躁(조) : 불안하다, 초조하다, 경솔하다
'채근담(菜根譚) > 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原其初心 觀其末路 원기초심 관기말로 (1) | 2024.10.01 |
---|---|
31. 富貴寬厚 聰明斂藏 부귀관후 총명염장 (0) | 2024.10.01 |
33. 放得心下 入聖脫凡 방득심하 입성탈범 (0) | 2024.09.29 |
34. 偏見害人 聰明障道 편견해인 총명장도 (8) | 2024.09.29 |
35. 知退了步 須讓三分 지퇴료보 수양삼분 (1)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