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국풍(國風)

5. 위풍(衛風) 10. 목과(木瓜)

허접떼기 2022. 4. 11. 12:40

출처/ sohu.com

投我以木瓜 報之以瓊琚 투아이목과 보지이경거

匪報也 永以爲好也 비보야 영아위호야

 

投我以木桃 報之以瓊瑤 투아이목도 보지이경요

匪報也 永以爲好也 비보야 영아위호야

 

投我以木李 報之以瓊玖 투아이목리 보지이경구

匪報也 永以爲好也 비보야 영아위호야

 

내게 모과를 주셔서 보답으로 패옥을 드리니

보답이 아니라 길이 호의로 여기소서

 

내게 복숭아를 주셔서 보답으로 옥돌을 드리니

보답이 아니라 길이 호의로 여기소서

 

내게 자두를 주셔서 보답으로 옥돌을 드리니

보답이 아니라 길이 호의로 여기소서

 

木瓜(목과) : 모과

木桃(목도) : 복숭아. 풀명자(楂子)

木李(목리) : 오얏, 자두

瓊琚(경거) : 옥으로 만든 패

瓊瑤(경요) : 옥돌, 패옥의 일종 瓊玖도 같다

匪(비) : 非와 같다

以爲(이위) : 생각하다. 여기다.

인정하다(주관적 생각)

好(호) : 호의, 친근함

 

<毛詩序>는 제(齊)나라 환공(桓公)을 찬미한 것으로

북적(北狄)이 위나라를 멸하자 조(漕)로 도망하였는데

환공이 수레와 기물을 보냈고

위나라 사람들이 고맙게 여겨 보답을 하려고 이 시를 지었다고 한다.

주희는 내게 하찮은 선물에 보답으로 귀중한 보석을 드리나 부족하다 느끼는 남녀간의 모습이라 하였다<詩集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