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국풍(國風)

7. 정풍(鄭風) 5. 청인(淸人)

허접떼기 2022. 3. 28. 22:47

출처/바이두

淸人在彭 駟介旁旁 청인재팽 사개팽팽

二矛重英 河上乎翶翔 이모중영 하상호고상

 

淸人在消 駟介麃麃 청인재팽 사개표표

二矛重喬 河上乎逍遙 이모중교 하상호소요

 

淸人在軸 駟介陶陶 청인재축 사개도도

左旋右抽 中軍作好 좌선우추 중군작호

 

청인이 팽땅에 주둔하고 갑옷 입은 네 말이 튼튼하네

두 창은 겹으로 붉은 깃을 달고 황하 위를 날고 있네

 

청인이 소땅에 주둔하고 갑옷 입은 네 말이 씩씩하네

두 창은 겹으로 갈고리를 달고 황하 위를 돌아다니네

 

청인이 축땅에 주둔하고 갑옷 입은 네 말이 달리네

좌는 수레 몰고, 우는 칼 뽑고 중군이 좋게 짜여졌네

 

淸人(청인) : 정나라 대부 고극(高克)이 거느린 淸邑의 사병이라 함

 淸은 청읍으로 지금의 하남성 중모현(中牟縣) 서쪽이다

彭(팽) : 정나라 지명, 황하 위에 있었다고 한다

 하남성 연진(延津)현과 활(滑)현 경계라 함(굴만리교수)

駟(사) : 네 필의 말

介(개) : 갑옷(甲)

旁旁(팽팽) : 튼튼하고 힘이 센 모양 彭彭과 같음

 旁(방,팽)은 달리다의 뜻으로 팽으로 읽는다

 일설엔 빨리 뛰는 모양이라 함

二矛(이모) : 酋矛(추모)와 夷矛(이모)

 수레 양변에 꽂았다.

重英(중영) : 重은 겹이며 英은 붉은 깃으로 창끝에 단 장식임

河(하) : 황하

翶翔(고상) : 새가 나는 모양

消(소) : 지명, 황하 북변

麃麃(표표) : 굳세다, 용맹스러운, 씩씩하다(鑣鑣)

喬(교) : 갈고리를 덪붙힌 창

일설은 喬가 鷮(교:꿩)로 꿩깃이라 함<馬瑞辰, 通釋>

逍遙(소요) : 슬슬 거닐며 돌아다님

軸(축) : 消와 같이 황하 북쪽 지명

陶陶(도도) : 매우 화락한 모양, 말을 달리게 하는 모양

左旋右抽(좌선우추) : 고삐 잡고 말을 모는 자는 수레 왼편에 앉고

 무사는 오른쪽에 앉는다.

旋(선)은 회전하다, 운전하다는 뜻이고

抽(추)는 칼을 빼다를 말한다.

中軍(중군) : 전체 군진의 중앙 군대. 일설은 軍中이라 함

作好(작호) : 翶翔, 逍遙와 같이 쓰였음을 미뤄 보면

 군진을 좋게 만들어 놓았다는 뜻일 것이다.

 무예가 고강하다는 말이라는 설이 설득력이 있다.

 일설은 好는 樂과 통하여 즐긴다고 해한다<굴만리>

 

<左傳> 閔公(민공) 2년(BC660)에 고극과 청인의 기록이 있다.

정나라는 황하 아래에 있고 황하 위는 衛나라가 있었다.

민공2년에 狄人(적인)이 위나라를 공격하고 끝내는 멸망시켰다.

적인은 북적(北狄)으로 맥족,숙신,거란,말갈을 통칭하는 말이다.

위나라는 멸망하였다가 제환공(齊桓公)이 다시 부활시켰다.

당시 정나라는 문공(文公)이었다.

정문공에겐 고극이란 장수가 있었는데 문공은 고극을 싫어했다. 적인이 위나라를 멸하자

때맞춰 고극을 황하기슭을 지키게 하였다.

고극은 그의 관할인 청읍의 군사를 이끌고 진을 쳤으나

문공이 오래도록 다시 부르지 않자 군대가 흩어지고

끝내는 고극도 진(陳)으로 도망을 갔다.

이 노래는 고극의 청읍 병사가 황하 북변 땅인 팽, 소, 축에 진지를 구성한 상황을 적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