糾糾葛屨 可以履霜 규규갈구 가이이상
摻摻女手 可以縫裳 섬섬여수 가이봉상
要之襋之 好人服之 요지극지 호인복지
好人提提 宛然左辟 호인제제 완연좌피
佩其象揥 패기상체
維是褊心 是以爲刺 유시편심 시이위자
얽어맨 칡신으로 서리 밟아도 괜찮고
가녀린 여인의 손으로 치마를 꿰매도 좋네
허리띠와 옷깃을 달고 좋은 님 옷을 입으셨네
좋은 님 신중히 걷다 몸 돌려 왼편으로 피하니
상아 빗치개를 차셨네
다만 생각이 좁으니 그것을 나무람이네
糾糾(규규) : 얽어 매다
葛屨(갈구) : 칡으로 만든 신, 여름에 싣는다
可(가) : 옳다, 넉넉하다. 견디다
摻摻(섬섬) : 가녀리다 섬섬(纖纖)과 같다
女手(여수) : 굳이 시집 와 석달이 안된 여자의 손<集傳>이라고 주희는 해석했다.
시집을 가서 석 달이 지나야 묘당에 인사하고 바느질 등을 했다고 아울렀다.
要(요) : 허리띠(䙅), 일설에는 단추고리(鈕襻)
襋(극) : 옷깃
好人(호인) : 좋은 사람(善人), 또는 미인, 부잣집 여주인이라는 설도 있음
提提(제제) : 점잖게 걷는 모양, 마음이 편하다, 홀가분하다(安舒)
宛然(완연) : 마치, 흡사, 완연히,
눈에 보이듯 뚜렷함. 방향을 돌리다
주희는 사양하는 모양이라 함<集傳>
辟(피,벽,비,미) : 피하다(避)
佩(패) : 차다
象揥(상체) : 여성의 상아 빗치개, 족집게
일설에는 남자의 장식이라고 한다<詩說考略>
維(유) : 생각하다. 다만, 단지(惟)
褊心(편심) : 생각이 좁다, 성질이 급하다
以爲(이위) : 여기다, 알다, 인정하다
刺(자) : 풍자하다, 건드리다, 나무라다
<毛詩序>등은 위나라 여성을 묘사했다 하고
주희의 <詩集傳>에는 옥패를 찬 남자의 속좁음을 풍자한 것이라 한다.
위나라의 땅이 비좁아 이(利)를 탐하고 조급했다고 한다.
葛屨履霜(갈구이상)은 지나치게 검소하고 인색하다를 뜻하는 성어다
'시경(詩經) > 국풍(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제풍(齊風) 10. 재구(載驅) (0) | 2022.03.07 |
---|---|
8. 제풍(齊風) 11. 의차(猗嗟) (0) | 2022.03.06 |
9. 위풍(魏風) 2. 분저여(汾沮洳) (0) | 2022.03.05 |
9. 위풍(魏風) 3. 원유도(園有桃) (0) | 2022.03.05 |
9. 위풍(魏風) 4. 척호(陟岵)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