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庸德庸行 和平之基 용덕용행 화평지기
陰謀怪習異行奇能 음모괴습이행기능
俱是涉世的禍胎 구시섭세적화태
只一個庸德庸行 지일개용덕용행
便可以完混沌而召和平 변가이완혼돈이소화평
음모와 괴상한 습관 특이한 행동과 기발한 능력
모두 다 세상살이의 화근들이다.
오로지 늘 떳떳히 덕을 행한다면
곧 혼돈을 끝내고 화목과 평안을 불러올 수 있다.
怪習(괴습) : 이상한 버릇 (=奇習기습)
奇能(기능) : 기이한 능력
俱(구) : 모두, 다
涉世(섭세) : 세상살이
禍胎(화태) : 재앙의 근원(=禍根화근)
한대 매승(枚乘,?~bc140)의 《上書상서》
<諫吳王간오왕>에
福生有基 禍生有胎 복생유기 화생유태
納其基 絶其胎 납기기 절기태
禍何自來 화하자래?
복은 실마리가 있어, 화는 모태가 있어 생기는 것
좋은 실마리는 남겨두고 나쁜 바탕은 잘라버리면
화가 어찌 절로 오겠는가?
라 적었고 이는 반고(班固)의《漢書한서》
<枚乘傳매승전>에도 나온다.
一個(일개) : 하나, 일개(명사앞에서 성질을 의미)
庸德庸行(용덕용행) : 떳떳하고 한결같은 덕행
庸은 평범하다, 떳떳하다, 한결같다를 의미한다.
그래서《周易주역》에도
久의 의미로 ‘변하지 않음’을 의미하여 쓰였고
《中庸중용》에도
庸德之行 庸言之謹 용덕지행 용언지근
有所不足 不敢不勉 유소부족 불감불면
늘 떳떳히 덕으로 행하고 늘 떳떳히 말을 삼가며
부족한 바가 있으면 감히 힘쓰지 않을 수 없다.
라는 내용이 있다
便(변) : 곧, 바로
可以(가이) : ...할 수 있다.
混沌(혼돈) : 천지개벽 초 아직 분화되기 전의
상태로 모호하고 불분명하며 순박한 상태를 비유.
《莊子장자》<應帝王응제왕>편에
中央之帝爲混沌 중앙지제위혼돈
중앙의 임금이 혼돈이다는 내용이다.
남해의 임금 儵숙과 북해의 임금 忽홀이
혼돈의 몸에 일곱 개의 구멍을 뚫자
혼돈이 죽었다는 것인데
인위가 무위의 혼돈을 훼손하니
죽게 된 것이라고 설명되고 있다.
和平(화평) : 화목하고 평화로움
이 단어의 출처는《周易주역》<咸卦함괘>편에
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 성인감인심이천하화평
성인은 사람의 마음을 감화시켜 천하가 화평한다.
는 내용에서다.